13. [UE5] Camera, Camera Animation, Handheld

2024. 9. 11. 11:25·4. 언리얼 엔진(Unreal Engine) 공부/Unreal Engine 5
목차
  1. 1. Camera
  2. 1) Current Camera Setting
  3. 2) 카메라 및 오브젝트 이동
  4. 3) 애니메이션을 위한 카메라 꺼내기
  5. 2. Camera Animation
  6. 1) 직선 움직임
  7. 2) 곡선 움직임(CameraRig_Rail)
  8. 3) CameraRig_Crane 
  9. 3. Handheld(걸어가면서 촬영한듯한 느낌)
  10. 1) 영상 시간 늘리기

1. Camera

  • 언리얼에서 제공하는 카메라는 3가지 →  일반 카메라 / 시네 카메라 / 뷰포트 카메라 
    • 일반 카메라(파랑) : 플레이하면서 움직일 때 보이는 이유는 카메라 때문으로, 인터랙션 콘텐츠를 만들 때, 시선 화면을 따라다니는 뷰 요소로 활용(1인칭, 3인칭)
    • 시네 카메라(검정) : 애니메이션 작업용 카메라
    • 뷰포트 카메라

 

 

1) Current Camera Setting

  • 대부분 16:9로 사용
  • Filmback : 35mm Full Aperture 필름 카메라
  • 우측의 설정들은 거의 건들지는 않지만 표기한 네 가지를 조정해 뚜렷한 아웃포커싱을 만들 수 있음
    • Min Focal Length
    • Max Focal Length
    • Min FStop
    • Max FStop
  • Focal Length : 렌즈의 스펙을 맞춤
  • Focal Settings : 거리에 따른 초점 구분으로, 초점을 맞추는 과정(많이 사용)
  • Current Focal Length : 카메라를 앞 뒤로 이동한 것과 다른 입체적인 느낌
  • Current Aparture(조리개) : 숫자가 커지면 빛의 양이 줄어들고, 초점거리가 늘어남. 반대로 숫자가 작아지면 빛의 양이 늘어나고 초점거리가 줄어듦

 

2) 카메라 및 오브젝트 이동

  • Snap View to Object : 카메라 뷰가 오브젝트로 이동
  • Snap Object to View : 내가 보고 있는 뷰로 오브젝트가 이동.
    • 이 기능을 눌렀을 때, 바로 오브젝트가 보이지 않는 이유 : 카메라가 원점에 붙기 때문에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은 것처럼 보임

 

 

3) 애니메이션을 위한 카메라 꺼내기

  • 카메라를 추가하기 위해 Cine Camera Actor 추가

 

 

카메라 포커스 조정
  • 좌측과 같이 마네킹들과 카메라를 배치
  • Craw Debug Focus Plane(미리보기)를 체크, Manual Focus Distance를 조정해 우측과 같이 초점이 맞춰질 거리를 구성하면 보라색 영역 외의 Actor는 초점이 선명해짐

 

 

카메라 뷰를 확대하고 조종하기
  • CineCameraActor를 우클릭 후 Pilot 'CineCameraActor'를 누르면 뷰포트 카메라가 시네 카메라가 됨
  • 실제 카메라로 찍히는 앵글로 볼 수 있어 많이 사용

 

 

  • 뷰포트 카메라로 돌아오고 싶으면 좌측 상단의 표기한 아이콘클릭
  • 마지막으로 보고 있던 앵글로 나오게 됨

 


2. Camera Animation

1) 직선 움직임

  • Sequencer를 만들고 CineCameraActor를 Sequencer 레이어에 이동
  • Transform이 있는 걸 확인하고 Location, 초점 변경 등 키프레임을 줄 수 있음
  • 키프레임을 잡고 Location, Rotation의 값을 변경

 

 

2) 곡선 움직임(CameraRig_Rail)

  • CameraRig_Rail을 추가하고, Sequencer 레이어에도 옮기기

 

  • 레일의 Spline을 Alt 드래그로 추가하여 길을 만들기
  • Pivot의 상태가 로컬 좌표인 상태로 진행하기

 

 

  • 레일을 깔고 카메라를 레일에 붙일 예정이기 때문에 새로 카메라 생성
  • 붙일 카메라의 Sequencer 레이어의 + 를 눌러서 Attach → CameraRig Rail누르기
  • 다른 방법으로는 아웃라이너에서 CameraRig_Rail에 CineCameraActor 레이어를 이동시켜 하위 레이어로 넣기

 

 

  • 레일 판에 카메라를 붙이기 위해서는 CineCameraActor를 눌러 Rotation을 모두 0으로 설정
  • 카메라로 찍을 앵글을 다시 잡아주기

 

 

  • 레일의 모양대로 움직임을 주기 위해 CameraRig_Rail 옆 +를 눌러 Current Position on Rail 추가
  • Current Position on Rail에 키 프레임을 추가해서 도는 움직임 잡기
  • 안쪽의 마네킹을 바라보며 회전하는 움직임을 주기 위해 Transform의 Rotation내 Yaw 값을 간간이 잡아주기

 

CameraRig_Rail에 붙은 자동차에 카메라 붙이기
카메라를 자동차에 붙이면 좌측과 같이 뜨고, Choose Socket of Bone을 Root로 하면 몸체에 카메라가 붙음
Location의 모든 값을 0으로 만들고, 카메라의 위치를 바꿈

 

 

3) CameraRig_Crane 

  • Crane과 Cine Camera Actor를 추가하고 crane 하위 레이어로 Cine Camera를 옮김
  • 카메라의 Rotation을 0으로 설정하면, 크레인 쪽 가까이 자동적으로 맞춰짐

 

 

  • 축을 중심으로 Pitch(고개를 위아래), Yaw(고개를 좌우) 두 가지만 가능
  • Crane의 팔의 각도를 그대로 카메라가 따라가게 하고 싶으면 Lock Mount Pitch / Lock Mount Yaw를 체크 (원하는 방향은 직접 Rotation을 조정)

 

 

  • 정면일수록 피사체가 가까워짐

 


 

3. Handheld(걸어가면서 촬영한듯한 느낌)

  • CineCameraActor 추가
  • 위치, 카메라 앵글 잡아주고, Z 값은 사람 키 170정도로 설정

 

 

  • Add Level Sequence로 에셋으로 추가하여 이름은 LS_Garage, CineCameraActor를 Sequencer에 추가

 

 

  • Location의 X, Y 만 키 프레임을 주기(걸어가는 속도는 빠른 것보다 느린 것이 나음)
추가적으로 키 프레임 잡아서 움직일 때, X의 값이 이상하게 잡힘
위치를 이동하고 나서 Location의 전체 키 프레임을 주고 Z값을 지우는 것이 좋음

 

 

 

  • Sequence 폴더로 이동해 Blueprint Class 추가
  • All Classes에서 Shake 검색하고 CameraShakeBase 선택

 

 

  • CameraComponent 옆 + 누르고 아까의 BP_CameraShake 선택

 

 

  • BP_CameraShake의 편집창에 들어가서 저장 한 번 하기
  • 닫고 다시 들어가면 대상이 없어 우측처럼 조절 값만 보임
  • 세 번째 사진과 같이 Sequence와 Blueprint 창이 함께 보이도록 구성

 

 

  • Root Shake Pattern의 드롭 박스를 열고 Perlin noise로 설정
Amplitude
진폭, 정도(커지면 볼륨이 커지고 많이 흔들림)

Frequency
주파수, 사이클(1초 동안 몇 번 떨릴 것인가. 흔들리는 횟수)

 

 

  • 걷는 상황을 재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값으로 지정
  • 조정해가면서 값을 찾아가기
    • Y → Amplitude 3, Frequency 2
    • Z → Amplitude 6, Frequency 2.5
    • Duration 0
  • Pitch / Yaw도 함께 조정해서 Ratation 값도 주기

 

 

  • 이동 위치를 잡았으면 진행 방향을 바라보게 회전도 하기

 

 

  • 애니메이션 커브로 각 구간에 키 프레임을 잡은 부분끼리 자연스럽도록 커브를 조절
  • 날개와 선이 크로스 되지 않고 비슷하게 겹쳐지게 잡아야 자연스러움
  • 걸을 땐 빠르기의 변화 없는 등속 운동(직선의 형태로)으로 보여지도록 하기

 

 

1) 영상 시간 늘리기

  • View Rnage End를 바꾸면 두 시간이 모두 바뀌므로 이것으로 수정
  • 내가 작업하고자 하는 시간보다 프레임을 더 늘려 작업하는 것이 좋음
  • 숫자를 바꾸면 스크롤 바가 늘어남
  • 초록/빨간색 라인으로 영상 재생 영역을 지정

 

 

  • 다른 레이어들도 재생 영역 시간만큼 늘려주기
  • Camera Cuts로 최종 영상 확인하기

'4. 언리얼 엔진(Unreal Engine) 공부 > Unreal Engine 5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15. [UE5] Character Animation Asset, 외부 파일 캐릭터 모션 적용(Mannequin, Metahuman, Mixamo, ActorCore, Motion Capture)  (3) 2024.09.24
14. [UE5] Sequence, Spawnable Camera, New Binding, Rendering  (0) 2024.09.12
12. [UE5] Decal, Post Process Volume  (0) 2024.09.11
11. [UE5] Migrate  (0) 2024.09.06
10. [UE5] 액터 그룹화, Packed Level Actor  (2) 2024.09.02
  1. 1. Camera
  2. 1) Current Camera Setting
  3. 2) 카메라 및 오브젝트 이동
  4. 3) 애니메이션을 위한 카메라 꺼내기
  5. 2. Camera Animation
  6. 1) 직선 움직임
  7. 2) 곡선 움직임(CameraRig_Rail)
  8. 3) CameraRig_Crane 
  9. 3. Handheld(걸어가면서 촬영한듯한 느낌)
  10. 1) 영상 시간 늘리기
'4. 언리얼 엔진(Unreal Engine) 공부/Unreal Engine 5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15. [UE5] Character Animation Asset, 외부 파일 캐릭터 모션 적용(Mannequin, Metahuman, Mixamo, ActorCore, Motion Capture)
  • 14. [UE5] Sequence, Spawnable Camera, New Binding, Rendering
  • 12. [UE5] Decal, Post Process Volume
  • 11. [UE5] Migrate
스농이
스농이
2024.07.22부터의 기록
  • 스농이
    3D 비주얼 아티스트 성장일지
    스농이
  • 전체
    오늘
    어제
    • 3D 비주얼 아티스트 공부 기록 (78)
      • 1. 콘텐츠 기획 공부 (7)
        • 콘텐츠 기획 [이론] (3)
        • 콘텐츠 기획 [실습] (4)
      • 2. 3D 렌더링 및 생성형 AI 공부 (7)
        • VRED (2)
        • Stable Diffusion & Blender (2)
        • Midjourney & GPT4o (3)
      • 3. 후디니(Houdini) 공부 (16)
        • Houdini [이론] (8)
        • Houdini [실습] (8)
      • 4. 언리얼 엔진(Unreal Engine) 공부 (33)
        • Unreal Engine 5 (26)
        • Automotive Animation 스터디 [기.. (5)
        • Automotive Cinematic 스터디 [심.. (2)
      • 2. 블렌더(Blender) 공부 (15)
        • 지오메트리 노드 [이론] (3)
        • 지오메트리 노드 [실습] (2)
        • Blender [이론 및 실습] (10)
  • 블로그 메뉴

    • 홈
    • 방명록
  • 링크

  • 공지사항

  • 인기 글

  • 태그

  • 최근 댓글

  • 최근 글

  • hELLO· Designed By정상우.v4.10.0
스농이
13. [UE5] Camera, Camera Animation, Handheld

개인정보

  • 티스토리 홈
  • 포럼
  • 로그인
상단으로

티스토리툴바

단축키

내 블로그
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
Q
Q
새 글 쓰기
W
W

블로그 게시글
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
E
E
댓글 영역으로 이동
C
C

모든 영역

이 페이지의 URL 복사
S
S
맨 위로 이동
T
T
티스토리 홈 이동
H
H
단축키 안내
Shift + /
⇧ + /
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