역기획서
- 이미 시장에 출시되어 서비스되고 있는 상용 게임을 대상으로 해 해당 게임의 구조를 분석해 기획서를 작성하는 기법
- 분석의 목적으로 작성 → 게임을 만들 때 시작 단계에서 분석 내용을 토대로 차용할만한 내용을 도움 받기 위함(기반이 되는 자료)
대상 게임 선정
- 게임의 콘텐츠가 너무 복잡하거나 많지 않고 심플한 게임
- 규모가 큰 게임만 해야 하는 상황에는 분석의 범위를 제한(특정 스테이지, 특정 레벨)
- 직접 플레이 해본 게임 (구매가 어려우면 플레이 영상으로-말이 없는 영상으로)
- 대중적인 장르의 게임 → 스토리 진행과 게임 요소가 적절히 섞인 게임
- 게임에 대한 정보를 구하기 쉬운 게임
필수 요소(기획자 교육이 아니므로 교육 과정에 필요한 내용으로 구성)
- 분석 내용에서 그치지 않고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고민
- 제일 중요한 2가지 → 게임 시스템 분석, UI 분석
- 공간 변경이 되거나 특이한 부분 이미지로 넣음
- 게임 개요
- 게임의 기본 정보
- 게임 시스템 분석
- 시스템의 개념 정의 : 준비 - 실행 - 결과
- UI 분석
- UI 흐름
- UI 상세 내용
- 순서도
- 시스템의 진행 흐름(시간적 흐름) 또는 스토리의 진행 흐름을 순서도 기호를 사용해서 표현
- 사용자 행동과 시스템 기능(게임 시스템 분석 + UI분석 + 순서도)
- 사용자 행동에 따른 동작하는 기능의 순서 흐름을 표현 → 아이템을 먹었을 때
실습1 : 스토리 위주 게임 - 라스트오브어스1
실습2 : 미션 위주 게임(UI분석)
역스토리보드
- 이미 시장에 출시되어 상영된 영상을 대상으로 해 해당 영상의 구조를 분석해 기획서를 작성하는 방법
- 자신만의 창작 영상을 영상 기획서와 스토리보드를 작성하기 전에 영상의 구성을 파악하고, 영상의 카메라 앵글 구도, 구성 요소들 등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음
대상 게임 선정
- 영상의 스토리 구조가 너무 복잡하지 않고 심플한 영상
- 직접 본 영상
- 대중적인 장르의 영상
- 영상에 대한 정보를 구하기 쉬운 게임
필수 요소(기획자 교육이 아니므로 교육 과정에 필요한 내용으로 구성)
- 기존 영화의 스토리보드 북 참고(기생충, 헤어질 결심)
- 영상 개요
- 영상의 기본 정보
- 영상 스토리 분석
- 스토리의 흐름 분석(라스트오브어스 역기획 스토리 흐름 참고)
- 씬 구성 분석(영상에서 씬과 컷 변화는 카메라 앵글이 변화할 때) - 역기획서와의 차이점
- 시스템의 진행 흐름 또는 스토리의 진행 흐름을 순서도 기호를 사용해서 표현
- 사용자 행동과 시스템 기능
- 사용자 행동에 따른 동작하는 기능의 순서 흐름을 표현
실습2 : 미션 위주 게임(UI분석)
역기획서와 역스토리보드를 하는 이유는→ 아이디어를 얻어가는 과정영상 5개 → 1분 짜리가 씬이 몇 개가 사용 되더라. 평균 10개정도 사용된다라는 것이 나옴
내 콘텐츠에 만들 것을 유추됨
'1. 콘텐츠 기획 공부 > 콘텐츠 기획 [이론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. [이론] 3D 영상 콘텐츠 기획 제작 과정 (0) | 2024.08.13 |
---|---|
2. [이론] 생성형 AI 활용 (1) | 2024.08.07 |